세무 회계

국내 이커머스 판매자의 해외직판 부가가치세 및 세무 이슈

peony-news 2025. 6. 30. 16:42

 

요즘 스마트스토어, 쿠팡, 11번가 등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판매를 시작해 일정 규모가 되면, 자연스럽게 해외 직판(크로스보더 이커머스)에 도전하는 판매자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아마존, 쇼피, 라자다 등 글로벌 플랫폼은 진입장벽이 낮아 국내 소상공인, 1인 기업도 쉽게 진출하고 있죠.

하지만 해외 직판을 하다 보면 가장 많이 혼란스러워하는 부분이 바로 부가가치세(VAT) 신고세무 처리입니다.
오늘은 국내 이커머스 판매자가 해외 직판을 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부가가치세 영세율, 간이과세자 주의 사항, 역 부가세 신고 등에 대해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국내 이커머스 판매자의 해외직판 부가가치세

 

 

 

해외직판(수출)은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국내 소비자에게 판매할 때는 부가가치세 10%를 매출에 포함해서 받고, 부가세 신고를 통해 납부합니다.
하지만 해외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해외직판) 하는 경우는 다릅니다.
바로 부가가치세 영세율(0%)을 적용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부가세를 따로 매출세액으로 낼 필요가 없고, 대신 매입 단계에서 부담한 부가세(포장재, 원재료, 운송비 등)는 환급받을 수 있어 현금 유동성 측면에서도 유리합니다.

영세율 적용 요건

구분 요건
수출 사실 재화를 외국으로 실제 반출 (국내 소비는 제외)
대금 수령 외화로 수령 (수출대금 입금내역 필요)
증빙 서류 수출신고필증, 선하증권(B/L) 또는 AWB 등 운송장 필요
즉 반드시 수출신고를 하고, 수출신고필증을 확보해야 영세율이 인정됩니다.

카페 24, 고도몰 등 해외직판 설루션을 쓰는 경우 자동으로 수출신고까지 연동되는 서비스도 있으니 활용을 권장합니다.

 

 

간이과세자의 해외직판은 주의! 영세율 적용 안 된다

연 매출 1억 4백만 원 미만 개인사업자는 보통 간이과세자로 등록 가능합니다.
간이과세자는 내국인에게 판매할 때는 낮은 부가세율(0.5~3%)을 적용받아 세금 부담이 적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바로 간이과세자는 수출에 대해 영세율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매입세액 환급을 받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  일반과세자: 해외직판 시 영세율 적용 → 매입세액 환급
  •  간이과세자: 해외직판 시 영세율 미적용 → 매입세액 환급 불가

따라서 수출 비중이 점점 늘어난다면 일반과세 전환을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이에서 일반으로 바꾸려면 세무서에 ‘일반과세자 전환 신고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아마존 FBA, 쇼피, 라자다 풀필먼트 판매자의 세무 이슈

국내에서 상품을 해외 소비자에게 직배송하는 경우(우체국 EMS, DHL 등)는 비교적 간단합니다.
그러나 아마존 FBA, 쇼피/라자다 풀필먼트처럼 해외 현지 창고에 물건을 보내 보관·배송하는 구조는 상황이 달라집니다.

많은 국가들이 소비지 과세 원칙을 적용하기 때문입니다.
즉, 창고에 보관하는 순간 해당 국가에서 과세사업장으로 간주되어 해외 VAT 등록 및 신고 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영국: BREXIT 이후 모든 B2C 판매자는 일정 이상 매출 시 영국 VAT 번호 필수
  • 🇪🇺 EU: OSS(One Stop Shop) 제도로 일정 이상 매출 시 EU VAT 등록 필요
  • 🇦🇺 호주, 🇯🇵 일본 등도 일정 금액 이상 판매 시 VAT 신고 요구

아마존 셀러센터에서 종종 VAT 관련 알림 메일을 받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마존 FBA, 쇼피, 라자다 창고를 이용하기 전, 현지 부가세 등록 의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해외 플랫폼 수수료와 역부가세 신고(Reverse Charge)

많은 국내 이커머스 판매자가 아마존, 쇼피, 라자다에 플랫폼 수수료나 광고비를 달러로 결제합니다.
이때 세법상 ‘국내사업자가 해외사업자로부터 용역(서비스)을 제공받는 것’으로 보아, 역(逆) 부가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즉,

  • 부가세 신고서 4번 매입(외국용역 등) 항목에 공급가액과 세액을 기재
  • 자진해 부가세를 납부(단, 바로 매입세액으로 공제 가능)

만약 이를 누락하면 가산세(무신고/과소신고 가산세 + 납부불성실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챙겨야 할 포인트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해외직판 시 꼭 수출신고를 해야 하나요?

네, 영세율 적용을 위해 반드시 수출신고필증(또는 간이수출신고확인서)이 필요합니다.
EMS, DHL로 보낼 때 ‘수출신고’ 옵션을 선택하면 간이수출신고 확인서가 발급됩니다.

Q2. 간이과세자가 수출하면 부가세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

간이과세자는 영세율을 적용받지 못하므로, 매출에서 부가세를 별도로 신고하지 않지만 매입세액 환급도 못 받습니다.

Q3. 아마존 FBA를 시작했는데, 영국 VAT 번호 발급 문자가 왔습니다.

영국에 재고가 보관되면 영국 VAT 번호 발급 및 정기신고가 필요합니다. 전문 세무대리인을 통한 현지 VAT 신고를 권장드립니다.

 

 

해외직판 부가가치세 신고, 미리 준비하면 가산세 걱정 끝!

국내 이커머스 판매자가 해외직판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는 것은 매우 좋은 전략입니다.
다만 부가가치세 영세율, 간이과세자 환급 제한, 역부가세 신고, 해외 VAT 등록 등 중요한 세무 포인트를 놓치면 추후 많은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국내 부가세 신고는 영세율 수출신고로 매입세액 환급받기
  •  플랫폼 수수료는 역부가세 신고로 가산세 방지
  •  아마존 FBA, 쇼피 풀필먼트는 해외 VAT 의무 반드시 확인

사업 초기부터 전자상거래 세무를 잘 관리하면 세금 부담을 크게 줄이고, 안정적으로 글로벌 판매를 확대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필요하다면 전자상거래 전문 세무사와 상의해 절세 전략을 세워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