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3

크라우드펀딩 성공 후 세무 회계 처리, 이것만은 주의하자

크라우드펀딩, 기회이자 세금 리스크크라우드펀딩은 더 이상 스타트업이나 예술 창작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새로운 제품이나 콘텐츠를 시장에 선보이고 싶은 많은 개인사업자, 소상공인, 창작자들에게 초기 시장 검증과 자금 조달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하지만 크라우드펀딩에 성공했다고 해서 모든 것이 끝난 것이 아닙니다. 사실 그다음이 더 중요합니다. 펀딩을 통해 모은 자금은 회계와 세무에서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추후 가산세나 불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특히 크라우드펀딩은 전통적인 ‘판매’와는 성격이 조금 달라 세법상 해석에 혼란이 생기기 쉽습니다. 이에 따라 국세청도 최근 몇 년간 관련 유권해석과 사례를 지속해서 내놓고 있습니다.따라서 크라우드펀딩 성공 이후에는 반드시..

세무 회계 2025.07.03

NFT 창작자와 판매자를 위한 세무·회계 가이드

NFT의 개념과 특징NFT(Non-Fungible Token)는 ‘대체 불가능 토큰’이라는 뜻의 디지털 자산입니다.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발행되며, 각각의 NFT는 고유한 식별 값(토큰 ID)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NFT로 대체될 수 없습니다.이는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일반 암호화폐가 동일 가치를 지니는 동질적(Fungible) 자산과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입니다.(1) 어떻게 작동할까?NFT는 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ERC-721, ERC-1155 표준) 위에서 발행됩니다.작가가 그림, 음악, 영상 등을 디지털 파일 형태로 업로드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NFT로 민팅(Minting)하면, 이 NFT는 해당 작품의 소유권 및 진위(원본 여부)를 증명하는 토큰이 됩니다.즉, NFT에는 작품 파일 ..

세무 회계 2025.07.03

2025년 디지털 노마드 사업자의 세무·회계 신고 방법

디지털 노마드는 더 이상 낯선 단어가 아닙니다.국내외 어디서든 노트북과 와이파이만 있으면 일할 수 있는 환경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IT 개발, 온라인 마케팅, 유튜브·블로그 애드센스, 전자책·강의 판매, 글로벌 쇼핑몰 운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세계를 무대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노마드 사업자란?2025년 현재 디지털 노마드는 특정 국가에 고정적으로 머물지 않고, 여러 나라를 이동하며 온라인으로 업무를 수행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자를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IT 개발, 그래픽 디자인, 영상 편집, 유튜브·애드센스 수익, 아마존 FBA와 같은 해외 판매, 전자책 출판, 글로벌 컨설팅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세법에서는 거주자를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거주한 자로 보며, 이 경우..

세무 회계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