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기업의 재무제표, 무형자산은 어디에 숨어 있을까?
콘텐츠 기업 재무제표에선 건물보다 브랜드가 더 중요할 수 있다콘텐츠 산업, 특히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는기업의 자산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로 채워져 있습니다.무형의 콘텐츠, IP, 브랜드, 플랫폼 등이수익을 만들어내는 핵심이기 때문이죠.재무제표상 자산이라 하면 흔히 기계, 건물, 재고를 떠올리지만이런 콘텐츠 기업들은 실물 자산이 아닌 무형자산 중심의 자산 구조를 가집니다.한 편의 드라마, 하나의 앨범, 아티스트 이미지,그 모든 것들이 실제로 장부에 자산으로 기록된다는 사실은비전문가로서도 흥미롭고 낯설게 느껴졌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콘텐츠 중심 기업의 재무제표에서 무형자산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어떤 항목들이 자산으로 인식되는지▷ 그 변화가 기업 가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조사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
엔터테인먼트사의 무형자산 유형별 분류 및 회계처리
K-POP 회사의 자산은 건물보다 IP가 더 중요할까K-POP, 드라마, 예능, 캐릭터, 굿즈, 콘텐츠 플랫폼까지…요즘 엔터테인먼트사는 단순한 소속사나 방송 제작사를 넘어다양한 콘텐츠 IP를 보유한 자산 중심의 기업으로 변하고 있습니다.이런 변화는 회계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납니다.과거엔 부동산이나 설비가 기업의 주된 자산이었다면,이제는 저작권, 초상권, 콘텐츠, 브랜드, IP(지식재산권)이기업의 장부에서 매우 중요한 무형자산으로 잡히고 있죠.그런데 이 무형자산들…실제로는 어떤 기준으로 회계 장부에 계상되고 있을까요?IP 하나만 해도 저작권, 상표권, 영상물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그걸 다 같은 자산으로 처리하는 걸까요? 아니면 다르게 분류될까요?이번 글에서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보유하는 다양한 무형자산의..